클라우드 컴퓨팅은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컴퓨팅 자원을 제공받고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서비스 모델이다.
개인이나 기업이 자체적으로 컴퓨터나 데이터센터를 구축, 관리하던 것과 대비하여
클라우드 컴퓨팅은 이러한 인프라, 플랫폼, 소프트웨어 등을 외부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쉽게 이용할 수 있게 한다.
클라우드 컴퓨팅 세 가지 서비스 모델
인프라스트럭처 애즈 어 서비스(IaaS)
가상 머신,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의 기본 컴퓨팅 인프라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이런 자원 위에 운영체제와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관리한다.
대표적으로 AWS, AZURE, GCP 등이 있다.
플랫폼 애즈 어 서비스(PaaS)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배포,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개발 도구 등을 포함하며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집중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Google App Engine, Microsoft Azure App Service, Heroku 등이 있다.
소프트웨어 애즈 어 서비스(SaaS)
클라우드 제공자가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에게 서비스로 제공한다.
사용자는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거나 관리할 필요 없이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Google Workspace, Microsoft Office 365 등이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을 사용하면 무엇이 좋을까?
비용절감
자체 인프라를 구축, 유지보수할 필요가 없어 초기 투자 비용과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확장성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자원을 즉시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어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접근성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장치를 통해 언제든지 어디서든 클라우드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다.
안정성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서버, 네트워크, 백업 등의 인프라를 관리하므로 고가용성, 데이터 보호를
보장할 수 있습니다.
자동 업데이트
소프트웨어와 플랫폼의 업데이트와 유지보수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에의해 자동으로 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작업에 시간과 비용을 들이지 않아도 된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단점도 있을까?
보안과 개인정보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면 데이터를 외부 서비스 제공자에게 저장해야 한다.
데이터의 보안과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가 있다.
인터넷 의존성
클라우드 서비스에 접근하려면 인터넷 연결이 필수적이다.
인터넷 연결이 끊길 경우 서비스 이용이 어려울 수 있다.
제어력 제한
클라우드 제공자가 인프라를 관리하므로 사용자는 일부 제어력을 상실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특정 요구에 맞게 인프라를 조정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과거공부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 서버와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0) | 2023.04.26 |
---|---|
정규 표현식(Regular Expression) (0) | 2023.04.25 |
멀티스레딩과 멀티프로세싱 (0) | 2023.04.24 |
테스트(Testing) (0) | 2023.04.21 |
호이스팅 (0) | 2023.04.20 |